1. 기계경비의 개념과 종류
1) 기계경비의 개념
기계경비는 전자적·기계적 장비를 이용하여 시설·지역·사람의 이상 상황을 탐지·통보·대응하는 경비 형태로, 일반적으로 24시간 자동 감시체계를 포함합니다.
- 「경비업법」상 허가된 기계경비업체만 수행 가능
- 통합관제센터를 통한 원격 모니터링, 경고, 출동까지 포함
📌 정의 키워드: 감지 → 통보 → 대응의 3단계 자동보안
2) 기계경비의 종류
ㄱ. 순수무인기계경비
- 인력 개입 없이 시스템이 자동 감시·경보 수행
- 예: 은행 ATM실, 무인창고, 출입통제구역 등
ㄴ. 혼합기계경비
- 기계 + 인력이 결합된 형태
- 예: 이상 감지 시 관제센터에서 출동 요원 파견 → 기계 + 인력 보완
2. 기계경비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1) 기계경비 시스템의 구성 (3대 기본구성요소)
구성 | 요소설명 |
감지부 | 침입, 이상, 연기 등을 감지 (예: 센서, 감지기) |
통신부 | 감지된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달 (예: 유무선 송신기) |
통제부 | 경보, 출동, 기록 분석 등 조치 수행 (예: 관제소, 컴퓨터 시스템) |
📌 시험 포인트: 감지부 - 통신부 - 통제부
2) 기계경비의 기능
- 침입감지 기능: 도어센서, 적외선 감지 등
- 화재감지 및 자동 소화연계
- CCTV 영상저장 및 실시간 송출
- 출입통제 시스템: 카드, 생체인식 등
- 위급 시 긴급통보 기능 (PANIC 버튼 등)
📌 현대화 추세:
- AI기반 분석, 안면인식, 클라우드 연계, 모바일 원격조작 등 확대 중
3. 기계경비의 장 · 단점
1) 기계경비의 장점
항목 | 설명 |
비용절감 | 인건비 절감 + 24시간 감시로 효율성 상승 |
정확성 | 인간보다 감지 오차 적고 일정한 품질 유지 |
강력범죄 예방 | 즉각 경고 및 출동체계로 범죄 억지 효과 |
통합운영 가능 | 화재, 출입통제, CCTV 등을 통합 보안시스템으로 구축 가능 |
2) 기계경비의 단점
항목 | 설명 |
초기비용 과중 | 설비·설치비, 시스템 구축비용 고액 |
역이용 가능성 | 시스템 구조 파악 시 범죄자가 우회하거나 해킹 가능성 |
오경보 위험성 | 바람·동물·시스템 오류 등으로 불필요한 경고 발생 가능 |
유지보수 부담 | 장비 노후화, 기술관리 인력 필요 등 운영 복잡성 |
업무 제한성 | 기계는 상황 판단 능력 한계 → 현장 융통성 부족 |
전기·네트워크 의존 | 정전 시 감시 중단 위험 |
📌 시험 포인트:
- 초기비용 vs 지속적 효율성의 trade-off 구조
- 오경보, 해킹 가능성은 실제 사례 중심으로 기억
✅ 요약 비교: 인력경비 vs 기계경비
항목 | 인력경비 | 기계경비 |
감시 형태 | 현장 중심 | 원격 자동 감시 |
반응 속도 | 빠르나 지연 가능성 있음 | 즉시 경보 가능 (단, 상황판단은 부족) |
비용 구조 | 인건비 중심, 지속적 고정비 | 초기비용 고액, 유지비 절감 가능 |
정확도 | 상황 판단 강점 | 오경보 가능성 |
융통성 | 고도 | 기계는 유연성 제한 |
'민간경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비계획의 수립: 예측과 대응, 민간경비의 전략적 미래를 설계하다 (3) | 2025.06.25 |
---|---|
경비대상의 경비진단 활동 (3) | 2025.05.16 |
인력경비 (2) | 2025.05.07 |
계약경비 서비스 (0) | 2025.05.06 |
자체경비 서비스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