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기업 수준의 전략

전략에도 '레벨'이 있다

'전략'이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 마케팅 전략
  • 영업 전략
  • 생산 전략
    같은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것을 떠올린다.

하지만 기업 경영에서 전략은 훨씬 더 크고 높은 차원의 개념이다.

바로 "기업 수준의 전략(Corporate-Level Strategy)" 이다.

이것은 단순히 '어떻게 팔 것인가'를 넘어서
"어떤 시장에서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
를 결정하는 가장 상위 전략이다.

오늘은 이 거대한 전략의 세계를
명확하고 현실적으로 풀어본다.

기업수준의전략이란?

기업 수준의 전략(Corporate-Level Strategy)이란?

정의:
기업 전체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어떤 사업에 진출하고, 어떤 사업에서 철수하며,
어떻게 자원을 배분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최고 수준의 전략.

핵심 질문

  • 우리는 어떤 산업에서 경쟁할 것인가?
  • 우리는 하나의 사업에 집중할 것인가, 다각화할 것인가?
  • 국내 시장에 집중할 것인가, 글로벌로 나아갈 것인가?
  • 성장은 자체적으로 할 것인가, 인수합병(M&A)으로 할 것인가?

요약:
기업의 "삶의 방향"과 "운명의 축"을 결정하는 전략이다.

기업 수준의 전략 vs 사업 수준의 전략

구분 기업 수준 전략 사업 수준 전략
범위 전체 기업 개별 사업부, 제품군
주요 질문 어떤 산업/시장에 참여할 것인가? 그 산업 내에서 어떻게 경쟁할 것인가?
예시 삼성그룹이 반도체, 바이오, 금융에 모두 진출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어떻게 경쟁할까?

Tip:
기업 수준 전략이 뿌리라면,
사업 수준 전략은 가지와 잎이다.

 

기업 수준의 전략,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집중 전략 (Concentration Strategy)

  • 특정 사업 분야에 집중해서 성장하는 전략.
  • 리스크는 낮지만 성장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예시

  • 코카콜라: 음료 사업 집중
  • 스타벅스: 커피 사업 집중

 

2. 다각화 전략 (Diversification Strategy)

  • 여러 산업이나 제품군에 진출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전략.

다각화 종류

구분 설명 예시
관련 다각화 기존 사업과 연관성 높은 분야로 확장 삼성전자의 반도체 → 스마트폰
비관련 다각화 완전히 다른 분야로 확장 롯데의 식품 → 호텔, 건설 진출

Tip:
다각화는 위험 분산에는 좋지만
경영 복잡성 증가 리스크도 따른다.

 

3. 수직통합 전략 (Vertical Integration Strategy)

  • 공급망을 직접 통제하려는 전략.

상방 통합: 원재료 생산 단계까지 직접 진출
하방 통합: 유통/판매 단계까지 직접 진출

예시

  • 테슬라: 배터리 자체 생산 (상방 통합)
  • 애플: 자체 매장 운영(하방 통합)

 

4. 인수합병 전략 (Mergers & Acquisitions, M&A)

  • 기존 기업을 사들이거나 합병하여 빠른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는 전략.

예시

  • 네이버의 왓패드 인수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바이오에피스 합병

 

5. 국제화 전략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 국내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해외 시장에 진출해 성장하는 전략.

방식

  • 수출
  • 해외지사 설립
  • 글로벌 인수합병

예시

  • 현대자동차의 글로벌 공장 건설
  • 쿠팡의 미국 증시 상장

 

왜 기업 수준의 전략이 중요한가?

✅ 자원의 한정성 — 모든 기회에 다 도전할 수는 없다.
✅ 시장 환경 변화 — 기존 시장이 축소될 때 대비가 필요하다.
✅ 성장 한계 극복 —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필요성.
✅ 위험 분산 — 하나의 사업 실패로 기업 전체가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요약:
기업 수준 전략은
"어디에 베팅할 것인가?" 를 결정하는 일이다.

 

기업 수준 전략의 성공과 실패 사례

사례 전략 결과
아마존 관련 다각화(리테일 → AWS) 성공, 글로벌 지배
코닥 사업 집중(필름 사업 고수) 실패, 파산
SK그룹 비관련 다각화(통신, 에너지 등) 성공, 사업 포트폴리오 안정화
AOL + 타임워너 대형 인수합병(M&A) 실패, 가치 급락

교훈

  • 다각화한다고 무조건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 집중한다고 무조건 망하는 것도 아니다.
    전략이 아니라, 실행이 성패를 가른다.

 

기업 수준 전략 수립의 핵심 질문

  1. 우리 산업의 미래는 어떤가?
  2. 우리 기업의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3. 지금이 집중해야 할 때인가, 분산해야 할 때인가?
  4. 리스크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
  5. 성장과 수익성 중 어디에 더 중점을 둘 것인가?

 

기업 수준의 전략은 "살아남고, 지배하기 위한 그림"이다

✅ 기업 수준 전략은 단순한 "성장 욕심"이 아니다.
✅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 기업이 살아남고 번영하기 위한 생존 플랜이다.
✅ 전략이 명확할수록, 위기에도 흔들림이 적다.
✅ 좋은 전략 위에만 성공적인 실행이 가능하다.

기업은 선택해야 한다.
그 선택이 곧 그 기업의 운명이 된다.

당신의 선택은 무엇인가?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에 대한 기본 이해  (0) 2023.04.26
다국적 기업과 글로벌경영  (0) 2023.04.26
사업부 수준의 전략  (0) 2023.04.26
내부 환경분석  (0) 2023.04.26
외부 환경분석  (0) 2023.04.26